논어의 첫 구절을 붓펜으로 써 보다. 가로 세로 1.5cm 칸으로 썼는데 많이 번진다. 글자 크기도 엉망이다. ㅠㅠ
쿠레타케 붓펜과 한지 조합으로 쓸 때는 가로 세로 3cm정도의 칸안에 써야 번짐 현상이 덜 해 보일것 같다.
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다.
학습이란 배움과 익힘이 함께 쓰인 한자어다.
배우기만 하고 익히지 않는다면, 어떻게 실력이 발전할 수 있겠는가.
'習'이란 한자는 羽 깃(우)에 百 일백(백)이 합쳐진 한자라고 한다. 새가 날기위해서 백번을 연습한다는 뜻이다.
아기새가 날기 위해서는 나는 법을 배움만으로는 부족하다. 배우고 익힐 때 비로소 날 수 있게 되는 기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.
學:배우다(학) 부수 : 子 8급 간자:学 [xué]
而:말잇다(이) 부수 : 而 3급 간자:而 [ér]
時:때(시) 부수 : 日 7Ⅱ급 간자:时 [shí]
習:익히다(습) 부수 : 羽 6급 간자:习 [xí]
之:가다(지), 어조사(지) 부수 : 丿 3Ⅱ급 간자:之 [zhī]
不:아니다(불), 아니다(부) 부수 : 一 7Ⅱ급 간자:不 [bù]
亦:또(역), 겨드랑이(액) 부수 : 亠 3Ⅱ급 간자:亦 [yì]
說:말씀(설), 달래다(세) 부수 : 言 5Ⅱ급 간자:说 [shuō]
乎:어조사(호) 부수 : 丿 3급 간자:乎 [hū] 000
필순을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활용.
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?
공자께서 말씀하시길, “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? 친구가 있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또한...
haesol-memo.com
'손글씨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판없는 거리 - 윤동주 (0) | 2020.11.16 |
---|---|
천자문 붓펜 연습 (0) | 2020.11.06 |
격몽요결_서 정자체 연습 (0) | 2020.1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