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남매스토어 바로가기: smartstore.naver.com/haenammae
※ 본 노트의 필순에 관한 문의 사항이 많습니다.
한자의 필순은 가장 쓰기 쉽고 빨리 쓸 수 있으며, 붓의 흐름에 가장 조화로운 순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쓰는 순서를 종합하여 규칙화한 것이나, 필순에 있어서 어느 방법이든 절대적일 수는 없습니다. 실제로 필순의 세부 규칙은 자전(字典)마다 조금 다르고 나라별로(중국, 일본)도 조금씩 다릅니다. 그러니 한자를 쓸 때 너무 필순에 구애(拘礙)되지 말고 아래의 원칙 정도를 지켜 쓰면 무방(無妨)합니다. 한자 능력시험에서도 아래의 원칙에 크게 어긋나지 않으면 모두 정답 처리를 합니다.
1) 위에서 아래로 쓴다. 三, 工, 言, 客
2)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. 川, 州, 外
3) 좌우 대칭될 때는 가운데 부분을 먼저 쓰고 왼쪽, 오른쪽의 순서로 쓴다. 小, 水, 樂
4) 가로와 세로가 겹칠 때에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. 木, 支, 十
5) 삐침과 파임이 만날 때에는 삐침 먼저 쓴다. 父, 人, 文
6) 안쪽과 바깥쪽이 있을 때 바깥쪽 먼저 쓴다. 同, 固, 內, 因
7) 가운데를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.
8)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은 맨 뒤에 찍는다. 犬, 代, 成
9) 받침은 가장 마지막에 쓴다. 近, 建, 道
마지막으로 본 노트의 필획 순서는 KanjiVG의 라이센스를 통해 사용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.
Kanji information used in this recognition system comes from the KanjiVG project.
The kanji data is copyright (C) Ulrich Apel 2009-2013 and is used under the terms of a Creative Commons licence.
'한자와손글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자소학 정자체쓰기와 기초한자 연습 노트 (0) | 2021.07.16 |
---|---|
천자문 쓰기 152번째 치예단청 (0) | 2021.06.03 |
덕건명립_천자문 기초 한자 쓰기 (0) | 2021.05.03 |
명심보감 명언명구 55선 정자체 손글씨 노트 (0) | 2021.02.25 |
복이회아 유이포아 (0) | 2021.01.15 |